KIER 실습 경험 관련 취업 가능 기업 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바이오자원순환연구실에서 연료 업사이클링 및 청정연료 전환 기술을 실습하신 경험을 살려 취업할 수 있는 기업들을 정리했습니다. 에너지 자원순환(폐플라스틱 재활용, 저가유분 고부가화)과 청정연료(지속가능 항공유, 수소 등) 분야에 주력하는 대기업, 공기업, 중견기업, 외국계 기업을 유형별로 선정했습니다. 각 기업의 이름, 유형, 관련 직무/부서, 실습내용과의 연관성, 신입 채용 및 전공 요구, 최근 채용 동향을 표로 정리하였으며, 필요 시 간단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대기업 (에너지/화학 분야)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은 탄소중립과 순환경제에 대응하기 위해 폐자원 업사이클링, 청정 수소, 바이오연료 등에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 R&D 부서나 생산기술 부서에서 관련 전공의 신입사원을 정기적으로 채용하며, 석사 이상의 인력을 우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대체로 하반기 공채나 인턴 채용연계를 통해 신입을 선발합니다. 예를 들어 SK의 경우 인턴십을 거쳐 신입사원을 채용하며 그룹 공채 포털에서 공지합니다 kepco-enc.com . 아래는 해당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대기업 리스트입니다: 
기업명 유형 관련 직무/부서 실습 연관성 신입 채용 및 전공 최근 채용 동향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지오센트릭)*
대기업 (정유·화학) 환경과학기술원 R&D,
정유공정기술, 친환경사업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재활용,
화학적 재활용 기술개발
신입 공채 (엔지니어·연구개발 직군)
화학공학, 환경공학 등 관련 전공
매년 하반기 공채 실시. 2021년 국내 최초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정유 공정 원료로 투입: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2024년 울산에 대규모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장 상업화 추진: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SK E&S**
*(**SK가스** 포함)*
대기업 (에너지) 수소사업본부,
CCUS기술팀 등
천연가스 기반 블루수소 생산,
CO₂ 포집·저장 연계 사업
신입 수시채용 (에너지 기술직)
화학공학, 기계공학 등
보령에 연 25만 톤 규모 블루수소 플랜트 추진: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SK가스는 인턴십 통해 신입 채용: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수소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밸류체인 인재 채용.
**LG화학** 대기업 (석유화학) Sustainability사업부,
기술연구원 (환경소재)
폐비닐 열분해유 공장 건설,
바이오 연료·Bio-화학 소재
신입 공개채용 (R&D/엔지니어)
화공, 화학, 재료전공 등
충남 당진에 폐비닐 열분해유 공장 2024년 가동 예정: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생분해성 플라스틱**, **친환경 바이오오일(HVO)**, **CO₂ 기반 플라스틱** 등 순환자원 R&D 적극 추진: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석사 이상 R&D 채용 활발.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대기업 (석유화학) ESG사업부, 수소에너지팀,
연구소 (케미칼)
플라스틱 순환경제 “Project LOOP”,
암모니아 활용 수소사업
신입 공채 및 인턴전환
화공, 화학, 신소재 등
폐플라스틱 화학재활용 사업 확대 및 PET/플라스틱 재활용 (기계·화학) 투자. 그린암모니아 수입 및 수소생산 계획 보유. 2023년 하반기 신입공채 진행, 관련 전공자 다수 채용.
**GS칼텍스** 대기업 (정유) 신사업추진부 (바이오연료),
에너지기술연구소
지속가능 항공유(SAF) 생산,
폐플라스틱 Chemical Recycling
정기 공채 (엔지니어·R&D)
화공, 기계, 화학 등
2023년 국내 최초 SAF 전용 생산라인 구축: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네스테社와 협력해 SAF 시범운항 성공 및 일본 수출: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50톤 정유공정 투입 실증 후 5만톤/년 시설 투자 검토:contentReference[oaicite:9]{index=9}. 매년 하반기 신입 채용.
**HD현대오일뱅크** 대기업 (정유) 신에너지전략실,
대산공장 기술개발
폐식용유 기반 바이오연료,
블루수소 (CCUS 연계)
신입 공채 (생산기술/R&D)
화공, 환경, 기계 등
국내 정유사 최초 자체 생산 SAF 일본 수출 (2024):contentReference[oaicite:10]{index=10}. 폐플라스틱 열분해 및 바이오나프타 코프로세싱 추진. 정기 공개채용 통해 신입 연구인력 충원.
**S-OIL** 대기업 (정유) R&D센터 (TS&D),
신사업팀
폐식용유 기반 연료 (HVO),
친환경 석유화학 확장
공채/수시 채용 (엔지니어)
화공, 화학 등
2023년 국내 최초 CORSIA 인증 지속가능항공유 생산 성공: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온산 RUC&ODC 완료 후 화학제품 확대 및 재활용 원료 도입 검토. 신입 공채로 엔지니어·연구 직군 채용.
**한화솔루션**
*+(한화임팩트)*
대기업 (에너지/화학) 그린에너지본부,
수소터빈팀 (임팩트)
그린수소 및 연료전지용 암모니아,
수소혼소 발전기술
신입 공채 및 수시채용
화공, 기계, 전기 등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더불어 수소 에너지사업 진출. 한화임팩트는 80MW급 수소전소 터빈 실증 성공(수소 100% 연소 발전):contentReference[oaicite:12]{index=12}. 친환경 연료전환 기술 인력 채용 중.
**효성중공업** 대기업 (중공업) 수소사업단,
신재생에너지PU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
수소충전 인프라 (린데와 협력)
수시 채용 (플랜트기술)
화공, 기계, 전기 등
울산에 세계 최대 액화수소 공장 건설 중 (린데와 합작), 수소 저장용 탄소섬유탱크 생산. 최근 신입사원 수시채용을 통해 플랜트 설계·운영 인력 충원.
요약: 상기 대기업들은 모두 신입 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화학공학·환경공학 등 관련 전공자를 선호합니다. 폐플라스틱 Chemical Recycling, 수소 에너지, 지속가능 연료 부문의 R&D 및 생산기술 직무가 주 대상이며, 최신 채용 정보는 각 사 채용 홈페이지와 공채 시즌(주로 상·하반기)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분야 경험을 강조하면 연구개발, 엔지니어 직군으로 지원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기업/공공기관 공기업 또한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자원순환 사업을 확대하며, 관련 전공의 인재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공기업의 채용은 공개경쟁채용(필기전형 NCS 등) 형태로 진행되며, 일부는 인턴 채용 후 정규직 전환 경로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환경·에너지 분야에서 실습경험을 살릴 수 있는 주요 공기업입니다:
기업명 유형 관련 직무/부서 실습 연관성 신입 채용 및 전공 최근 채용/사업 동향
**한국가스공사**
(KOGAS)
공기업
(에너지 공급)
수소사업처,
신에너지기술팀
천연가스 기반 수소생산,
수소 인프라 구축
정기 공개채용 (기술직)
화학공학 등 (8·6급)
‘수소경제 선도’ 전략으로 2030년까지 대규모 수소 생산 계획. 2025년 상반기 신입 공채 실시 및 인턴 모집:contentReference[oaicite:13]{index=13}. 관련 전공자(화공 등) 다수 채용.
**한국석유공사**
(KNOC)
공기업
(에너지 자원)
신에너지사업팀,
CCUS추진부
동해가스전 CCS 프로젝트,
블루수소 연계 사업
공개채용 (기술직)
지질, 화학공학 등
고갈된 가스전에 CO₂ 저장하여 연 40만톤씩 저장 (CCS):contentReference[oaicite:14]{index=14}; 울산 산업단지의 블루수소 생산 CO₂를 저장하는 국내 최초 상용 CCS 실증 추진:contentReference[oaicite:15]{index=15}. 2025년 신입/경력 채용공고 발표:contentReference[oaicite:16]{index=16}.
**한국전력공사**
(KEPCO)
공기업
(전력 공급)
전력연구원
탄소중립기술실
암모니아 혼소 발전,
CO₂ 포집 및 활용
정기공채 (기술직)
전기, 화공 등
발전 자회사들과 암모니아-석탄 혼소 기술, 수소 터빈 발전 연구. 2024년 하반기 신입 채용 시 청정수소 등 미래기술 인력 모집:contentReference[oaicite:17]{index=17}.
**한국지역난방공사** 공기업
(에너지 공급)
열에너지연구소,
자원순환사업팀
폐자원 에너지화 (SRF 등),
바이오매스 발전
공채/NCS (기술직)
기계, 환경 등
열병합발전 연료 다변화 추진 (목재펠릿, 폐자원 활용). 환경공학 전공 신입을 수시 채용하여 폐열 이용 및 대기오염 저감 업무 수행.
**한국환경공단** 공공기관
(환경 전문)
자원순환본부,
폐기물에너지처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회수,
업사이클링 지원
공개채용 (NCS)
환경공학 등
국가 폐플라스틱 자원화 사업 추진, 지자체 순환경제 지원. 신입 채용 시 폐기물·수처리 등 환경 전공자 우대.
요약: 공기업은 수소 등 신에너지 사업과 CCS, 폐자원 에너지화에 참여하고 있어 해당 분야 전공자에게 기회가 있습니다. 다만 **채용전형(필기시험)**이 존재하므로 준비가 필요합니다. 최근 한국가스공사는 대규모 인턴 채용을 진행하여 청년 인재를 모집 kogas.or.kr 하고 있으며, 한국석유공사는 동해가스전 CCS와 연계한 블루수소 사업으로 환경·화공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공기업 취업을 원한다면 관련 자격증 준비와 NCS 필기 대비도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중견기업 및 기타 관련 기업 중견기업이나 스타트업 중에도 폐기물 자원화, 친환경 연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곳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특정 기술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실습 경험을 직접 활용하기 좋습니다. 신입 채용은 수시로 이루어지며, 일부는 정부 과제나 대기업 협력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업명 유형 관련 직무/부서 실습 연관성 신입 채용 및 전공 특이 사항
**LD Carbon**
(엘디카본)
중견 (친환경 소재) R&D팀 (열분해),
생산기술팀
폐타이어 열분해유 및 Carbon Black 생산 수시 채용 (연구원/엔지니어)
화학, 환경 전공
폐고무·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친환경 카본블랙**과 연료유 생산:contentReference[oaicite:19]{index=19}. 탄소배출 저감형 순환자원 사업으로 성장.
**에코크레이션**
(Eco Creation)
중소/벤처
(환경기술)
공정기술팀,
장비개발팀
폐플라스틱 열분해 설비 개발,
오일화 기술
수시 채용 (연구·기술)
화학공학 등
국내 유망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전문 기업. SK지오센트릭이 25% 지분 투자 및 기술협력:contentReference[oaicite:20]{index=20}. 파일럿 장비 개발 경험을 살릴 수 있음.
**미코파워**
(MiCo Power)
중견 (연료전지) 연료전지개발팀,
생산기술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및 수소 생산 모듈
수시 채용 (연구원 위주)
신소재, 화공 등
국내 연료전지 전문기업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 수소경제 인프라 확대에 따라 채용 증가 (사람인 공고 다수:contentReference[oaicite:21]{index=21}).
**두산퓨얼셀** 중견/대기업계열
(연료전지)
기술연구원 (연료전지),
프로젝트엔지니어
인산형 연료전지(PAFC)
및 수소연료전지 개발
공채/수시 (신입 연구직)
기계, 화공 등
세계적인 연료전지 기업으로 성장 중. 수소 연료전지 발전 프로젝트 다수 수행. 신입 채용 시 연료전지 관련 전공자 선호.
**코오롱인더스트리**
(Kolon)
중견/대기업계열
(화학/소재)
친환경소재사업부,
파일럿플랜트팀
바이오플라스틱 (PBS 등),
폐플라스틱 열분해 실증
공채/수시 채용
화학, 재료, 고분자
바이오 기반 **생분해 플라스틱** 양산 및 폐플라스틱 재활용 파일럿 운영. 관련 연구경력 있으면 신입 연구직으로 유리.
요약: 중견기업들은 특정 세부기술에 집중하고 있어, 연구실에서 익힌 실무 기술을 직접 적용하기 좋습니다. 예를 들어 LD Carbon은 열분해유 정제 및 탄소소재 생산 경험, 에코크레이션은 열분해 장치 운전 경험 등이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수시로 인력을 충원하므로 개별 기업 채용공고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스타트업/벤처의 경우 채용절차가 유연하므로 직접 문의하거나 관련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외국계 기업 (한국 법인)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에너지/화학 기업도 친환경 기술 분야 인재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글로벌 기술을 배경으로 한국 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하거나 기술 지원을 담당합니다. 주로 경력직 채용이 많지만, 기술영업이나 엔지니어 직군의 신입 채용 기회도 있습니다:
기업명 유형 관련 부서/직무 실습 연관성 채용 및 전공 비고
**에어리퀴드코리아**
(Air Liquide)
외국계
(프랑스)
수소에너지팀,
산업가스 플랜트운영
수소 생산·저장 (SMR 등),
탄소포집 활용
신입/경력 엔지니어 채용
화공, 기계 등
국내 산업용 수소 생산공장 운영 (전자산업 및 정유 공급). 수소 인프라 확대에 따라 기술인력 채용 중.
**린데코리아**
(Linde)
외국계
(독일/미국)
수소사업개발,
엔지니어링팀
액화수소 플랜트 기술,
수소충전소 구축
신입 채용 드물지만
경력 위주 (화공 등)
효성 등과 협력해 울산 액화수소플랜트 건설. 한국 법인은 플랜트 운영과 기술영업 인력 위주 채용.
**BASF 코리아** 외국계
(독일)
촉매사업부,
소재개발팀
화학촉매 (수소생산, 연료전환),
재활용 원료 활용
신입 채용 소수 (석/박사 우대)
화학, 재료 전공
여수공장 등 국내 생산기지 운영. **화학적 재활용** 원료 확보 위해 기술 검토 (글로벌 BASF는 pyrolysis 오일 프로젝트 진행). R&D센터에 석박사 채용 사례 있음.
**Honeywell UOP**
(한국허니웰)
외국계
(미국)
기술서비스팀,
공정라이선싱
에코파이닝(Ecofining) 바이오연료,
UpCycle 플라스틱 재활용 공정
주로 경력 채용
(화공 프로세스)
정유·석유화학 공정 기술 라이선서로, **바이오디젤/항공유 공정** 및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보유. 한국지사에서 기술지원 엔지니어 채용 가능.
**쉘 코리아**
(Shell)
외국계
(네덜란드)
에너지솔루션팀,
기술영업
바이오연료 공급,
수소에너지 투자
신입보다는 경력직 위주
화공, 상경 복수전공 우대
한국에서는 주로 LNG 트레이딩 및 윤활유 사업. 하지만 모회사 차원에서 **바이오연료, 수소** 투자 활발. 한국법인 채용은 제한적이나 관련 분야 경험자 우대.
요약: 외국계 기업에 신입으로 취업하려면 관련 글로벌 기술 동향에 대한 이해와 영어 능력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Air Liquide나 Linde는 수소 플랜트 운영 경험과 영어능력을 갖춘 엔지니어를 선호합니다. BASF 등은 석사 이상 연구직 공채를 통해 뽑기도 합니다. 국내 채용공고는 한정적이므로 LinkedIn 등의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기회를 찾거나, 인턴십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해외 기술을 국내에 적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KIER 실습에서 얻은 지식을 국제적 관점에서 어필하면 좋습니다 skinnonews.com skinnonews.com .
※ 결론: 환경/에너지 기술 분야에서는 전통 에너지 기업부터 신기술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까지 다양한 취업 기회가 있습니다. 📝 지원 시 실습에서 다룬 폐자원 업사이클링 기술, 수소 및 청정연료 프로젝트 경험을 강조하세요. 또한 기업별 채용공고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인턴십이나 산학협력을 통한 네트워킹도 활용하면 취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최신 채용 정보와 요구 역량을 면밀히 파악하여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성공적인 취업을 기원합니다! 🚀

Comments